[단독] 적자 100억 따릉이 "당분간 안 늘린다…정책 전환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서울시 공공자전거로 자리 잡은 '따릉이', 하지만 지난해 적자가 100억이 넘을 정도로 운영상황은 썩 좋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적자를 줄이는 게 급선무가 된 상황인데, 서울시가 그 첫 대안으로 올해를 끝으로 당분간 따릉이 확충은 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어떤 배경인건지, 김민혜 기자가 단독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하루에 단돈 1천 원이면 마음껏 이용할 수 있는 저렴한 요금과 편리한 접근성.<br /><br />2015년 첫선을 보인 서울시 공공자전거 '따릉이'가 지금껏 사랑받는 큰 비결입니다.<br /><br />올해 5월 기준으로 따릉이 가입자 수는 305만여 명입니다.<br /><br />서울시민 3명 중 1명은 따릉이 이용자인 셈인데요, 비회원까지 더하면 이용자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됩니다.<br /><br />인기에 힘입어 자전거 도입 대수도 그사이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운영 상황은 나빠졌습니다.<br /><br />이용 요금만으로 운영 수입을 충당하다 보니, 늘어가는 각종 운영비를 감당하기 힘든 건데 지난해에는 적자가 100억 원이 넘었습니다.<br /><br />더 이상 적자를 늘릴 수만은 없는 상황에서, 서울시는 우선 내년부터 당분간 따릉이는 늘리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 "올해 연말까지 3천 대를 확충하면 4만 5백 대 정도가 됩니다. 충분히 편리하게 가까운 곳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적정규모가 확보됐다 그렇게 보고 있고요…"<br /><br />대신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, 부가 수익을 창출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쪽으로 정책 전환을 꾀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간단한 따릉이 수리는 현장에서도 가능하도록 해 회전율을 더 높이거나, 높아진 인지도를 바탕으로 광고 수입을 얻는 방법 등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요금 인상은 아직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최근 3년간 서울시민들이 가장 공감한 정책 1위를 차지하며 주요 교통수단으로도 자리 잡은 따릉이.<br /><br />따릉이의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시의 고민도 깊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